뇌와 한의학57 경혈과 침 경혈에 대한 가벼운 접근입니다. 비유를 통한 편한 이야기라 생각해 주세요. ‘막힌 혈이 뚫리면서 …….’ 이런 비슷한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혈이란 한자로 穴, 구멍을 말합니다. 막힌 구멍을 뚫었다는 말입니다. 하수구가 막혔을 때 우리가 어떻게 하나요? 구멍을 뚫기 위해서 가늘고 날카로운 물건으로 막힌 곳을 쿡쿡 찌릅니다. 그러다 구멍이 좀 뚫리면 그 사이로 휘젓고 빙빙 돌리면서 구멍을 막고 있던 쓰레기 더미를 내립니다. 물론 트래펑을 써서 뚫을 수도 있습니다. 두 가지를 인체에 비유하면 물리적 방법은 침이 되겠고 화학적 방법은 약이 되겠군요. 동양사상은 세상에는 공간적, 시간적 흐름이라는 것이 있고 흐름의 출입이 현저한 곳이 있다는 관점으로 자연현상을 이해합니다. 그리고 인간.. 2021. 2. 16.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뇌와 나를 바꾸는 힘 사람은 순간순간 변화합니다. 아무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는다고 해서 그대로인 것이 아닙니다. TV를 켜 놓고 멍때리고 있어도 눈에는 TV 화면이 보입니다. 의식하지 않아도 TV화면의 반사광이 눈과 뇌에 입력됩니다. 이미 뇌는 많은 일을 하고 있으며 나는 변화한 것입니다. 문득 출연자에 눈이 갑니다. 누구라고 억지로 기억을 짜내지 않아도 출연자가 누구인지 압니다. 그 순간 나의 뇌는 변화했습니다. 나도 모르게 커피를 한 모금 마십니다. 따뜻한 액체가 몸 안으로 들어온 순간 의식하지 못하지만 뇌는 열심히 내 몸에서 보내는 정보를 처리합니다. 나의 뇌는 변화했습니다. 살아있다는 것 그 자체가 인식하건 그렇지 않건 간에 내가 변화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자신의 변화는 곧 자기 뇌의 변화를 의미합.. 2021. 2. 9. 긴장성 두통 없애는 법 두통은 아픈 부위가 머리이다 보니 뇌와 가까워서 신경이 쓰입니다. 머리가 아프면 생각이 제대로 되지 않고 짜증도 나고 감정적으로도 많이 힘들어집니다. 자기도 모르게 찌푸린 표정을 짓게 되어 오해를 살 일도 많고 사회적으로도 좋은 인상을 줄 수 없습니다. 두통을 호소하는 분들은 만성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두통이 다른 원인으로 인해 수반되는 증상일 경우도 많습니다. 감기 걸리면 두통이 생기는 것과 같습니다. 이차성 두통이라고 하는데 진통제를 자주 복용하면 이로 인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 이런 경우는 꽤 자주 봅니다. 또 카페인 섭취가 많은 분들도 카페인 섭취를 못하면 두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두통까지는 아니더라도 커피 안 마시면 머리가 돌아가지 않는다는 경험은 누구나 갖고 계실 .. 2021. 1. 22. 심근경색 체험담 대화 중에 지인이 급성심근경색에 걸려 입원했다고 했습니다. 입원 중에 연락을 받지도 않았고 그 후에도 평소와 다름이 없었으며 또 심장에 문제가 있을 생활을 하는 사람이 아니어서 이런 일이 있었으리라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누구에게나 예고없이 갑작스럽게 다가올 수 있는 질환이 심근경색입니다. 그리고 잘못 대처하면 사망에 이르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지인의 동의를 얻어 일인칭 시점으로 심근경색이 나타났을 때의 상황을 남기고자 합니다. - 목차 - 1. 심근경색이란 2. 급성심근경색의 증상 3. 심근경색의 전조증상 4. 심근경색의 유발요인 5. 돌연사의 원인으로서 급성심근경색 6. 심근경색의 증상이 나타나면 119 심근경색의 전조증상과 유발요인 1. 심근경색이란 심장이 멈추는 일이 있습니다. 심정지라 하는데 심정.. 2021. 1. 19. 경락을 진단하는 맥진 경락을 경맥이라고도 부릅니다. 혹시 산경도(山經圖)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우리나라의 산맥을 그린 지도입니다. 산경, 산맥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맥과 경은 비슷한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맥을 한자로 脉이라고도 하는데 몸에 있는 길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몸에서 기와 혈이 돌아다니는 큰 길이 경락이니 경맥과 경락은 같은 말입니다. 경락을 진단하는 맥진 1. 맥진은 경락의 상태를 살피는 진단 행위 경락의 상태를 잘 살피는 것을 진맥이라 합니다. 한의원에서는 진찰이라는 말 대신 진맥이라는 말이 더 일반적이라 할 정도여서 진맥 하는 것이 한의사의 대표 이미지이기도 합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허준이 최종 진단과 처방을 하고, 그 아래 침을 놓는 전문의, 진맥을 하는 맥의가 따로 있어 팀이 구성되어 치료하는 기.. 2021. 1. 9. 봉침의 효능 - 통증을 치료하는 이유 봉침은 통증을 빨리 가라앉힙니다. 진통 효과뿐만 아니라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도 신속하게 치료합니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만성 통증질환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봉침 치료로 빨리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봉침이 통증에 효과적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 목차 - 1. 염증물질과 항염증물질 2. 봉독의 효과 - 면역 체계의 변화 3. 봉독이 염증을 없애는 이유 4. 신경계에 미치는 봉침의 효과 5. 봉침의 항염증물질과 신경계 조절 6. 봉침을 맞을 때 주의할 점 봉침이 통증 질환에 효과적인 이유 만성통증을 앓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한의원에 연세 드시면서 만성적으로 몸 여기저기 아픈 분들이 많이 오십니다. 디스크 질환이나 협착으로 인해 목, 어깨, 허리, 다리가 아프거나 류머티스나 퇴행성이 원인이 된 다양한.. 2021. 1. 7. 대뇌 발달 부위와 성격 차이 우리는 인체 기관 중의 하나로 뇌를 바라봅니다만 뇌는 여러 기관이 모여 있는 복합 조직입니다. 뇌에 있는 각 조직들은 고유한 기능을 발휘하는데 그 기능들이 뇌의 다른 영역과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우리의 모든 생각과 행동을 결정합니다. 뇌의 영역 중 인간에게 특히 발달한 곳이 대뇌입니다. 대뇌도 각 신경 연결망의 많고 적음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해부학적으로 실비우스 열을 따라 뇌를 나누어 상뇌와 하뇌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상뇌에는 전두엽의 배외측전전두피질, 두정엽이 하뇌에는 측두엽, 후두엽, 복외측전두피질, 안와전두피질, 전두극이 포함됩니다. 실험을 통해 확인한 바로 상뇌는 위치를 하뇌는 형태를 구분합니다. 사람 얼굴을 보았을 때 코가 입 위에 있다는 것을 아는.. 2021. 1. 4. 만성통증과 뇌 만성적인 기쁨은 없으나 만성통증은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일까요? 통증을 느끼는 데에는 뇌가 큰 역할을 합니다. 가끔 뇌는 없는 통증도 만들어낼 때가 있고 조그마한 자극을 부풀려 엄청나게 고통스러운 것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인간의 뇌는 오류로 가득 차 있기는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최고의 정보처리기구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정확한 판단을 내립니다. 우리가 기쁨을 느낄 때는 기쁨을 느낄 어떤 일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일이 제공하는 정보가 뇌를 계속 자극하지 않습니다. 간지럼을 느낄 때 기분이 좋아집니다. 하지만 얼마 후 뇌가 몸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기쁨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감수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기쁨이 지속되지 않습니다. 또한 곧 뇌가 그 일에 익숙해져서 더 이상 뇌의 회로가 반짝거리며 관.. 2020. 12. 30. 통증과 뇌와 침 날카로운 것에 찔리거나 문에 발이 끼었을 때, 아니면 무거운 것이 발가락에 떨어졌을 때를 생각해 보세요. 피부가 갈라져 피가 나거나 멍이 들고 생각만 해도 움찔거리는 통증이 생길 겁니다. 아픕니다. 어떡해야 할까요? 저라면 어지간한 경우 침으로 치료합니다. 통증의 발생 과정이나 치료 기전을 보면 용어가 다를 뿐 한의학에서 하는 말과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신경과 경락이 비슷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락에는 기혈이 흐릅니다. 각 경락에 흐르는 기운은 다른 경락에 흐르는 기운과 성격이 다릅니다. 어떤 경락에 잘못된 것이 나타났느냐에 따라 증상이 달리 나타납니다. 경락 자체가 증상을 결정하는 것이지요. 경락과 비슷하게 통증 역시 어떤 경로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무거운 물건에 발가락.. 2020. 12. 25.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