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을 경맥이라고도 부릅니다.
혹시 산경도(山經圖)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우리나라의 산맥을 그린 지도입니다. 산경, 산맥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맥과 경은 비슷한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맥을 한자로 脉이라고도 하는데 몸에 있는 길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몸에서 기와 혈이 돌아다니는 큰 길이 경락이니 경맥과 경락은 같은 말입니다.
경락을 진단하는 맥진
1. 맥진은 경락의 상태를 살피는 진단 행위
경락의 상태를 잘 살피는 것을 진맥이라 합니다. 한의원에서는 진찰이라는 말 대신 진맥이라는 말이 더 일반적이라 할 정도여서 진맥 하는 것이 한의사의 대표 이미지이기도 합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허준이 최종 진단과 처방을 하고, 그 아래 침을 놓는 전문의, 진맥을 하는 맥의가 따로 있어 팀이 구성되어 치료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맥진이라는 것이 병을 파악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는 방증입니다. 또한 전문의가 있을 정도로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요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맥진은 맥동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
많은 환자분들께서 손목을 내밀며 맥을 잡아달라고 합니다. 맥을 잡고 병을 파악해주기를 바라십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어렵습니다.
손목에 감긴 실을 잡아보고 문밖에서 왕비의 몸 상태를 알아맞히는 드라마 장면을 보면 한의사인 제가 봐도 신기할 지경입니다. 분명 맥진은 오묘하고 신비로운 무언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진맥을 한다는 것은 맥동의 특징을 파악하여 경락과 경락의 근원인 장부의 상태를 이해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경락에는 각 장부의 기운이 표출되므로 경락을 살펴서 해당 장부의 진단을 하는 것입니다.
대체로 맥을 잡을 때는 손목의 요골동맥 부위를 잡아서 확인합니다. 기구맥이라고 합니다. 인영맥이라고 해서 목의 총경동맥의 박동을 파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두 개의 맥을 모두 잡고 비교하여 좀 더 정밀한 진단을 하고자 했습니다만 요즘은 기구맥을 관찰하여 경락의 건강상태를 확인합니다.
3. 맥진을 할 때 관찰하는 것
바람이 분다고 해서 나무의 밑둥치가 흔들리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나뭇가지는 쉽게 흔들립니다. 해부학보다는 장상학을 더 중요시했던 한의학은 장부에 병이 들었다고 해서 바로 장부 그 자체를 보지 않았습니다. 대신 흔들리는 나뭇가지를 보듯이 장부에서 멀리 떨어진 팔목의 맥동처에서 그 미세한 바람결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섬세한 작업이다 보니 맥을 설명하는 고전서적은 거의 시를 읽는 듯합니다.
경락은 장부의 기운이 운행되는 곳이므로 장부의 미세한 변화를 대략 28개로 구분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어느 장부에 어느 맥이 나타나느냐에 따라 병소와 병증, 예후 등을 확인한 것입니다.
맥동은 간단하게
1) 맥이 느껴지는 부위의 깊이가 표층이냐, 깊으냐
2) 맥박의 빠르고 느림,
3) 박동할 때 혈관 확장의 넓고 좁음
4) 흐름이 부드러운지, 거친지
5) 맥동에 힘이 있는지 없는지
다섯 가지 요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외에 개별적인 특징을 지닌 맥도 있어서 종류는 더 다양합니다.
건강한 맥이라고 하면 다섯 가지 기준에서 모두 중간치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맥을 잡는 것은 사람이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만 그 중간치의 개념을 알 수가 없는 까닭에 많은 경험이 필요한 것입니다.
4. 한의학의 다양한 진단법의 하나로서 맥진
한의학에서는 네 가지 진단법이 있는데 망문문절이라 합니다.
이 중 맥진은 절진에 속합니다. 절진(切診)이라는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끊어서 본다는 말입니다.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그냥 겉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몸의 상태가 그러한지 그 부분만을 끊어서 몸속을 진단하여 확인한다는 말입니다. 즉 맥진을 통해 병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추정되는 질환에 대해 검증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바로 맥만 잡고 질환을 안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침이란 경락에 있는 경혈에 자극을 주어 경락의 기혈을 안정시키는 치료법입니다. 그래서 침을 놓은 후 맥을 잡아보면 치료 전후가 달라집니다.
침을 놓고 맥이 확연히 정상으로 바뀌었을 경우 움직이기 힘들어서 오신 환자분들께 움직여보라고 말씀드립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 안 아프다는 말씀을 하십니다.
맥은 그만큼 정확하게 우리 몸의 상태를 나타내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진맥으로만 모든 것을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맥진은 망문문절이라는 네 가지 진단법 중 절진의 한 영역에 불과합니다.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얻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것입니다.
행여 손만 스윽 내밀고 한의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뇌와 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장성 두통 없애는 법 (0) | 2021.01.22 |
---|---|
심근경색 체험담 (0) | 2021.01.19 |
봉침의 효능 - 통증을 치료하는 이유 (0) | 2021.01.07 |
대뇌 발달 부위와 성격 차이 (0) | 2021.01.04 |
만성통증과 뇌 (0) | 2020.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