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가족 한방 주치의
일상스케치

올바른 사이시옷 쓰기

by Mr. Goodman 2021. 12. 8.
반응형

글을 쓰다 보면 내가 쓴 글이 맞춤법에 맞는지 아닌지 애매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사이시옷도 그 중 하나입니다. 자주 틀립니다.

맞춤법 규정에 근거하여 어떻게 써야 하는지 올바른 사이시옷 쓰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1. 한글 맞춤법 30항 사이시옷 규정

2. 순우리말 합성어, 또는 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3. 사이시옷은 발음으로 결정

4. 예외 사항

5. 사이시옷 적용의 어려움

 

사이시옷 규정


1. 한글 맞춤법 30항 사이시옷 규정

사이시옷에 관한 규정은 한글 맞춤법 30항에 있습니다.

규정에는 3가지 항목 밖에 없어 단순합니다.

사이시옷 제대로 쓰기가 어렵지 않아 보입니다.

 

한글 맞춤법 30항
한글 맞춤법 30항

 

2. 순우리말 합성어 또는 순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사이시옷을 써야 할 조건은 명사가 합해진 합성어일 경우입니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기에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합성어를 이루는 앞말과 뒷말의 조건이 중요합니다.

 

반드시 순우리말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순우리말+순우리말, 순우리말+한자어, 한자어+순우리말로 구성된 합성어여야 합니다.

 

이 조건을 벗어난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우리말에 많은 한자어와 한자어의 합성인 경우 사이시옷을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외래어가 포함된 말도 사이시옷과 무관합니다.

 

사이시옷에 대해 고민해야 할 말이 대폭 줄어듭니다.

 

3. 사이시옷은 발음으로 결정

사이시옷을 받침으로 넣어야 하니 앞 단어는 받침 없이 모음으로 끝이 납니다.

 

1) 모음으로 끝나는 앞말과 뒷말과의 관계에 있어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변하여야 합니다.

 

2) 된소리가 날 수 없는 이나  또는 으로 시작하는 말이라면 앞말이  받침소리가 나야 합니다.

 

이렇게 정리해 놓고 보니 사이시옷으로 고민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시냇가 : 순우리말+순우리말, [시내까, 시낻까]

혓바늘 : 순우리말+순우리말, [혀빠늘, 혇빠늘]

아랫집 : 순우리말+순우리말, [아래찝]

전셋집 : 한자어+순우리말, [전세찝]

성묫길 : 한자어+순우리말, [성묘낄]

 

아랫니 : 순우리말+순우리말, [아랜니]

나뭇잎 : 순우리말+순우리말, [나문닙]

제삿날 : 한자어+순우리말, [제산날]

 

피자집 : 외래어+순우리말

화병(火病) : 한자어+한자어

전세방 : 한자어+한자어

 

4. 예외 사항

한자어+한자어로 구성된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습니다만 6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입니다.

이 단어 여섯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자어 그대로 씁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셋방은 사이시옷을 써야 하나 전세방은 아닙니다.

그런데 전세집이 아니고 전셋집입니다.

 

셋방은 예외규정에 들어가는 6개 중의 하나로서 한자어로 된 합성어지만 사이시옷을 써야 합니다. 

반면 전세방은 한자어(전세)+한자어(방)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쓸 수 없습니다.

전셋집은 한자어(전세)+순우리말(집)이고 [전세찝]으로 발음이 되므로 사이시옷을 써야 합니다.

 

찻간은 사이시옷을 써야 합니다. 예외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찻간으로 쓰면 틀리고 기차간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한자어(기차)+한자어(간)라서 그렇습니다.

 

5. 사이시옷 적용의 어려움

사이시옷의 활용 원칙은 간단합니다.

그러나 이 원칙을 알고 있더라도 제대로 쓰기가 쉽지 않습니다.

발음에 근거해 판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머리말의 정확한 발음이 [머린말]일까요, [머리말]일까요?

인사말도 [인산말]로 말해야 올바를까요, [인사말]이라 해야 할까요?

 

북한에서는 사이시옷을 안 쓴다고 합니다.

표준어의 경우 발음 때문에 사이시옷을 쓴다고 하는데 짜장면이라는 발음을 무시하고 자장면을 표준어로 하고 있으니 꼭 발음에 얽매일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글로 쓸 때는 어근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규정을 찾아 정리했으나 제자리입니다. 계속 헷갈릴 것 같습니다.

댓글